nand 파일 시스템과 속도
2007.07.27 17:25
일반적으로 fat 파일 시스템 속도는 spi/sd card속도가 nand에 비해서
두배정도 빠른 결과를 보여준다.
nand 파일 시스템에서 속도의 개선은 해결해야만 될 숙제이다.
속도향상을 높이는 방법은
섹터로 데이타를 쓸때는 보통 하나씩 섹터를 증가시키면서 쓴다는 점에 착안해서
어떤 새롭게 지워져있는 블럭을 찾았을때 경우 블럭의 상태는 오픈된다.(BLOCK_OPEN)
페이지를 쓰기시작하면 블럭은 오픈되어있다.(BLOCK_OPEND)
그러면 블럭을 언제 닫아야하나?
1. block내의 page를 다 써서 블럭 증가가 일어날때
2. 페이지를 쓰다가 페이지read가 일어날때
3. 블럭은 오픈되어있는데 timer로 500msec이상 wtitre명령이 없을때
이럴때, 쓰여진 페이지의 기존 옆의 페이지 데이타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재의블럭을(src block) 새로운 블럭으로(dst block) 옮기는데
이때는 속도를 위해서 꼭 copyback명령을 써서 옮겨야한다.
tskit
두배정도 빠른 결과를 보여준다.
nand 파일 시스템에서 속도의 개선은 해결해야만 될 숙제이다.
속도향상을 높이는 방법은
섹터로 데이타를 쓸때는 보통 하나씩 섹터를 증가시키면서 쓴다는 점에 착안해서
어떤 새롭게 지워져있는 블럭을 찾았을때 경우 블럭의 상태는 오픈된다.(BLOCK_OPEN)
페이지를 쓰기시작하면 블럭은 오픈되어있다.(BLOCK_OPEND)
그러면 블럭을 언제 닫아야하나?
1. block내의 page를 다 써서 블럭 증가가 일어날때
2. 페이지를 쓰다가 페이지read가 일어날때
3. 블럭은 오픈되어있는데 timer로 500msec이상 wtitre명령이 없을때
이럴때, 쓰여진 페이지의 기존 옆의 페이지 데이타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재의블럭을(src block) 새로운 블럭으로(dst block) 옮기는데
이때는 속도를 위해서 꼭 copyback명령을 써서 옮겨야한다.
tskit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 | sp232 capacitor 오류 | TsKit | 2007.07.15 | 6277 |
29 | atmega spi 2x mode | TsKit | 2007.07.12 | 6390 |
28 | extern array problem | TsKit | 2007.07.10 | 4140 |
27 | bulk-in error | TsKit | 2007.07.08 | 3859 |
26 | 10ms timer 설정(클럭 설정) | TsKit | 2007.06.25 | 4377 |
25 | long 연산 주의할점 | TsKit | 2007.06.24 | 4768 |
24 | long(32bit) 연산 주의할점 II | TsKit | 2007.09.01 | 5469 |
23 | ecc와 속도 | TsKit | 2007.08.20 | 3999 |
22 | const data를 flash area로... | TsKit | 2007.07.31 | 4229 |
21 | device driver단의 read timing | TsKit | 2007.07.29 | 4190 |
» | nand 파일 시스템과 속도 | TsKit | 2007.07.27 | 4688 |
19 | nand 파일 시스템과 메모리 | TsKit | 2007.07.27 | 5508 |
18 |
jumper input 포트가 필요해서
![]() | TsKit | 2007.07.26 | 3952 |
17 | sd card 초기화 에러시... | TsKit | 2007.07.25 | 5802 |
16 | Timer에게 일을 주자! | TsKit | 2007.07.25 | 3947 |
15 | fat32 포맷할 때는 | TsKit | 2007.07.24 | 4253 |
14 | Nand 플래시의특성과 파일시스템[펌글] | TsKit | 2007.07.24 | 10625 |
13 | 아답터 전원 이야기 | TsKit | 2007.09.13 | 4300 |
12 | Font 이야기 | TsKit | 2007.09.04 | 4440 |
11 | avrstudio runtime error 발생 [1] | TsKit | 2008.03.02 | 6126 |